급성기 치료
주사치료
체외충격파치료
도수치료
비수술적 치료 위주로 치료하며, 시기를 놓쳐
굴곡 구축이 남는 경우가 없도록 적절히 수술 시기를 결정합니다.
발목 인대는 발목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발의 과도한 움직임을
제한하여 발목 관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걷거나 뛰는 등의 일상적인 활동을 가능하게 하고, 발목 관절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발목 인대 파열은 발목 관절을 지지하는 인대가 외부 충격이나 과도한 움직임으로 인해 늘어나거나 찢어지는 손상을 말합니다.
발목을 접질리거나 회전 손상을 입는 경우 발생할 수 있으며, 스포츠 활동 중, 낙상, 교통사고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3도 파열의 경우 인대에 대한 봉합술이 필요합니다.
주로 다음 그림처럼 내반(inversion)에 의해 바깥쪽 인대가 파열되는 경우가 흔하며, 그 중에서도 전거비인대 및 종비인대의 손상 여부가 수술을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합니다.
2019년 기준 발목염좌긴장 진단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 중,
비교적 신체활동이 높은 10대 환자가 380,468명(약 27.9%)으로 다른 연령대보다 더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활동량이 많을수록 더 많이 발생하는 발목 염좌는 초기 치료가 중요합니다.
비수술 치료
급성기 치료
주사치료
체외충격파치료
도수치료
수술 치료
관절경과 최소 절개를 통한
micro MBO 수술법
(인대봉합술)
관절경만을 이용하여 인대를 봉합할 수 있으며,주로 전거비인대만의 단독 손상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수술을 할 정도의 심한 인대 손상이 있는 경우 발목 연골 손상 등이 동반되는 경우가 쉬운데, MRI에서 놓치기 쉽고
경비인대 손상 중 일부는 관절경 하에서만 발견되는 경우도 흔하기 때문에 진단적인 목적으로 시행합니다.
3도 손상의 경우 전거비인대 완전 파열 뿐만 아니라 종비인대의 손상도 흔히 같이 동반되어 있기 때문에
최소 절개를 통해 micro MBO 수술법을 이용하여 단단하게 인대를 봉합하여 재파열의 가능성을 최소로 낮춥니다.
수술 전 MRI 에서 전거비인대 및 종비인대의 완전 파열 소견을 보이며 관절내에 피가 고여 있는 모습이 관찰됩니다.
* 환자에게 받은 소중한 자료입니다.
수술 후 MRI 사진으로
좌측 사진에서 외측 복사뼈 부착 부위에서 완전 떨어졌던 전거비인대가 잘 봉합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고,
우측 사진을 통해 최소 절개를 통한 2개의 앵커 삽입을 통해 뼈에 인대를 넓게 부착을 시켜준 것이 확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