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치료
주사치료
체외충격파치료
도수치료
비수술적 치료 위주로 치료하며, 시기를 놓쳐
굴곡 구축이 남는 경우가 없도록 적절히 수술 시기를 결정합니다.
발뒤꿈치 뼈와 종아리 근육을 연결하는 아킬레스건에
발생하는 건병증입니다.
아킬레스건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크고 강력한 힘줄 중 하나이며,
걷기, 뛰기, 점프 등의 동작을 수행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아킬레스건염은 과도한 사용, 부적절한 운동, 잘못된 신발 착용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발바닥을 감싸는 두꺼운 섬유 조직인 족저근막에 발생하는
건병증입니다. 족저근막은 발뒤꿈치 뼈에서 발가락까지 이어져
있으며 발의 아치를 유지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족저근막염은 과도한 사용, 부적절한 신발 착용, 발의 구조적
이상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킬레스건염과 족저근막염은 형제같은 병이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종골이라는 뼈에 위에 붙은 부위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아킬레스건염, 아래에 붙는 부위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족저근막염이라고 합니다.
원인과 치료 방법이 비슷하며, 아킬레스건염이 생겼던 환자에게 족저근막염이 잘 발생하고, 반대도 가능합니다.
동시에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과도한 사용
갑작스럽게 운동량을 늘리거나 장시간 운동을 지속하면 아킬레스건 또는 족저근막에 과부하가 걸려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적절한 운동
준비운동 없이 갑자기 운동을 시작하거나, 운동 후 충분한 휴식을 취하지 않으면 아킬레스건 또는 족저근막에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
잘못된 신발 착용
굽이 높거나 딱딱한 신발, 또는 발에 맞지 않는 신발을 착용하면 아킬레스건 또는 족저근막에 스트레스를 가중시켜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기타 요인
평발, 아치가 높은 발, 비만, 나이, 특정 질환 (예: 류마티스 관절염) 등도 아킬레스건염의 위험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아킬레스건 또는 족저근막의 부착부위에 골극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치료의 대상이라기보다는 질병이 오래되었을 경우 발생하는 현상에 가깝습니다.
자꾸 당겨져서 생기기 때문에 견인성 골극이라고 합니다.
아킬레스건염의 흔한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족저근막염의 흔한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비수술 치료
약물치료
주사치료
체외충격파치료
도수치료
수술적 치료
내시경적 족저근막
부분 유리술
개방형 건활액막절제술
※ 족저근막염 및 아킬레스건염의 경우 대부분 비수술적으로 치료가 가능하며
일부 환자의 경우에만 수술적 치료를 제한적으로 시행합니다.
비수술적으로 치료가 되지 않는 만성 족저근막염에 대한 치료로, 2mm 정도의 소형 관절 내시경을 이용하여
족저근막을 부분 유리하여 수술 후 통증이 적고 일상생활로의 회복이 빠릅니다.
MRI 사진의 빨간 포탈을 이용하여 족저근막을 유리하여 터놓은 후,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늘어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됩니다.
비수술적으로 치료가 되지 않는 만성 아킬레스건염에 대한 치료로, 가장 문제가 되는 부위에 최소 절개를 통해
아킬레스건 주변 염증 조직을 제거하며, 수술 후 통증이 적고 일상생활로의 회복이 빠릅니다.
* 환자에게 받은 소중한 자료입니다.
아킬레스건염이 만성 중증인 경우 다음과 같이 개방형 건활액막절제술을 통해 염증 조직 및 퇴행성 조직을 제거해줄 수 있으며,
부착성 아킬레스건염의 경우 재부착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